확대 l 축소

<재산공개>고위법관 평균 38.7억···대법관 천대엽 3억, 이숙연 152억, 서경환 63억, 신숙희 43억

대법원 고위공직자 2025년 재산공개···조희대 대법원장 15.8억, 이형근 법원행정처 기획조정실장 337.6억
[한국법률일보] 대법원의 2025년 재산공개대상 고위 법관들이 신고한 2024. 12. 31. 기준 재산 평균은 387520만 원이고, 대법관의 재산 평균은 372천만 원으로 집계됐다.

대법원 공직자윤리위원회(위원장 강일원 변호사)는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을 포함한 고등법원 부장판사급 이상 법관 등에 대해 2024년 한 해 동안의 정기재산변동사항(’24. 12. 31.기준)27일자 관보 및 공직윤리시스템(PETI)을 통해 공개했다.

공직자윤리법상 재산등록의무자는 제6조에 따라 매년 11일부터 1231일까지의 재산변동사항을 다음해 2월 말일까지 신고해야 하고, 이에 따라 모든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같은 법 제10조에 따라 관할 재산공개대상자의 신고내역을 신고 기간 만료 후 1개월 이내에 공개해야 한다.

정기 재산변동사항 공개대상자는 정무직공무원과 1급 이상 국가공무원으로, 2025년 대법원 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대상자는 총 132명 중 순재산(가액 변동을 제외한 순증감액 기준) 증가 인원은 102(2024년도 대비 12명 감소), 감소 인원은 30(2024년도 대비 3명 증가)이었다.

2025년 재산공개 대상자들의 재산총액 평균은 387520만 원으로 2024년도 대비 41420만 원이 증가했다.

대법원 공직자윤리위원회 관계자는 “(2025년도의) 주요한 재산 변동 요인으로는 주택 공시가격 및 토지 개별공시지가 상승으로 인한 가액변동, 급여 저축, 상속 및 수증 등으로 인한 순재산 증가 등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재산공개대상 고위 법관 중 이형근 법원행정처 기획조정실장이 3376860만 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고, 임상기 수원고등법원 부장판사는 156827천 원을 신고해 가장 적었다.

100억 원 이상의 재산을 신고한 고위 법관은 모두 8명이었다. 이형근 법원행정처 기획조정실장이 3376860만 원, 윤승은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가 19516722천 원, 이승련 사법정책연구원장이 1938852천 원, 이숙연 대법관이 1526836천 원, 문광섭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가 1506545천 원, 김우진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가 11119527천 원, 윤태식 수원지방법원 부장판사가 10696004천 원, 권순형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가 1021388천 원을 신고했다.

조희대 대법원장은 158639만 원으로 신고했는데, 배우자 명의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아파트가 1079백만 원, 배우자와 공동소유의 서울 송파구 마천동 다세대 주택이 76천만 원, 본인과 배우자, 장남 명의의 예금이 884382천 원 등이었다.

대법관 중에는 이숙연 대법관이 1526836천 원으로 가장 많았고, 천대엽 법원행정처장은 31173만 원으로 가장 적었다.

서경환 대법관은 631927천 원, 신숙희 대법관은 436848천 원, 권영준 대법관은 3778491천 원, 오석준 대법관은 3527742천 원, 이흥구 대법관은 2653631천 원, 오경미 대법관은 2219881천 원, 노태악 대법관은 203837만 원, 박영재 대법관은 1743799천 원, 엄상필 대법관은 1525335천 원, 노경필 대법관은 108962만 원 순으로 집계됐다.

대법원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개 후 3개월 이내인 6월 말까지 공개대상자 전원에 대한 심사를 완료해, 재산누락 등 불성실 신고자에 대하여는 공직자윤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경고, 징계요구 등의 조치를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시민을 위한 법률전문 인터넷신문 '한국법률일보' 김명훈 기자 lawfact1@gmail.com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

PC버전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04223

Copyright ⓒ 한국법률일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