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법
- 행정
- 위원회
- 입법
- 법률가
- 사회·법QnA
- 경제와 법
[로팩트 김명훈 기자] 법무부가 22일(목) 발간한 ‘2016년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에 따르면, 2016년 국내 체류외국인은 통계작성 이후 최초로 2백만 명을 돌파해 전체 인구의 약 4%에 해당하는 2,049,441명이었고, 베트남은 미국을 제치고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국내 체류외국인이 많은 국가가 됐다.
출입국자는 2010년에 4천만 명을 넘어선 이후 6년 만에 두 배인 약 8천만 명(7,999만 명)에 다가섰다.
한국인 출국자는 2010년 1,281만 명에서 이후 6년 만에 다시 1천만 명이 늘어 2,266만 명을 기록했고, 외국인 입국자도 2010년 877만 명에서 6년 만에 두 배로 늘어 1,742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체류외국인 2백만명, 베트남 2위로 부상
우리나라 총인구 대비 국내 체류외국인 비율은 2006년 1.9%(91만명)에서 2016년 4.0%(205만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 |
2016년 체류외국인의 국적별 비중은 중국 49.6%(1,016,607명), 베트남 7.3%(149,384명), 미국 6.8%(140,222명), 타이 4.9%(100,860명), 필리핀 2.8%(56,980명), 우즈베키스탄 2.7%(54,490명)순이었으며, 베트남이 역대 최초로 체류외국인이 두 번째 많은 나라가 됐다.
베트남은 2005년 38,902명으로 중국 282,030명, 미국 103,029명, 일본 39,410명에 이어 4위였으나, 2006년 54,698명으로 중국 382,237명, 미국 108,091명에 이어 3위, 2016년에 149,384명으로 중국 1,016,607명에 이어 2위로 부상했다.
![]() |
출입국자 8천만명, 10년 전보다 2배 이상 늘어
2016년 출입국자는 79,987,974명을 기록해, 2006년 35,851,121명에 비해 규모가 약 2.2배 커졌으며, 이중 국민출국자는 11,833,511명에서 22,659,640명으로 약 1.9배 증가했고, 외국인입국자는 6,241,256명에서 17,418,307명으로 약 2.8배 증가했다.
![]() |
국민출국자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2015년에 19.6%, 2016년에는 15.7% 증가하는 등 이전보다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
승무원을 제외한 국민출국자의 성별 구성비는 남자 51.0%, 여자 49.0%였으며, 20대는 여자 출국자가 남자보다 833,478명이 더 많았다.
![]() |
외국인입국자는 2006년부터 2016년까지 매년 평균 10.5%씩 증가했으나, 2015년에는 메르스 여파로 2014년보다 6.3%(904,807명) 줄었고, 2016년은 2015년의 기저효과로 2015년에 비해 30.4% 증가한 17,418,307명을 기록했다.
![]() |
외국인입국자의 국적별 비중은 2006년에 일본인이 37.6%(2,348,359명), 중국인 16.8%(1,051,121명) 순이었으나, 2016년에는 중국인 47.5%(8,268,262명), 일본인 13.3%(2,321,842명)의 순으로 바뀌었다.
![]() |
승무원을 제외한 외국인입국자의 성별 구성비는 남자 41.6%, 여자 58.4%였으며, 20대는 여자 입국자가 남자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 |
법률전문 인터넷신문 로팩트(LawFact) 김명훈 기자 lawfact1@gmail.com
Copyrights ⓒ 한국법률일보 & www.lawfac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