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쿠팡’ 노동자무덤인가①] “동탄물류센터 50대 女노동자 사망···반복되는 쿠팡노동자 사망사고”

쿠팡대책위 "로켓배송보다 사람 먼저, 죽지않고 안전하게 일할 권리 보장하라!"

쿠팡노동자의건강한노동과인권을위한대책위원회 등 노동단체들은 2022. 2. 23. 서울 잠실 쿠팡 본사 앞에서 ‘쿠팡물류센터 반복된 노동자 사망사고 규탄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한국법률일보] 쿠팡노동자의건강한노동과인권을위한대책위원회(쿠팡노동자대책위),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공공운수노조, 택배노동자과로사대책위원회는 23일 서울 잠실 쿠팡 본사 앞에서 쿠팡물류센터 반복된 노동자 사망사고 규탄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지난해 12월 24일 쿠팡 동탄물류센터에서 일하던 53세 여성노동자가 헛구역질과 어지럼증을 호소하며 쓰러진 뒤 50여일이 지난 이달 11일 끝내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뇌출혈로 사망했다. 쿠팡대책위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금까지 쿠팡 물류센터에서 일하다 숨진 노동자는 고인을 포함해 6인, 쿠팡배송 노동자를 포함하면 10인이다.

이에 쿠팡노동자대책위 등 단체들은 “(사망자 수는) 확인된 것만 그렇고 실상은 이보다 더 나쁠 것이라면서, 쿠팡물류센터지회에서는 추위와 더위에 취약한 물류센터의 구조와 휴게 시간·공간의 부족 등 열악한 노동환경과 위계적인 업무지시, 인권 침해적인 핸드폰 반입금지 정책 등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수없이 외쳤지만 쿠팡은 문제를 덮는데 급급했다.”고 질타했다.


쿠팡노동자대책위 등 노동단체들은 2022. 2. 23. 서울 잠실 쿠팡 본사 앞에서 ‘쿠팡물류센터 반복된 노동자 사망사고 규탄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어 이번 사건 역시 마찬가지였다. 고인의 업무는 서포터업무로 공정에 물건이 들어오면 확인해서 전산으로 등록하고 신입 노동자들에게 전산업무 교육을 시키는 등의 일이었으나 이 외에 일명 까대기와 같이 담당 업무가 아닌 일까지 해야 했다.”면서, 그러나 쿠팡은 정해진 업무 외에 고인에게 다른 업무를 지시 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인이 이상 증세를 느끼며 고통을 호소했으나 이에 대한 현장 대처가 곧바로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결국 병원 이송까지 약 한 시간 반의 시간이 걸렸으나 쿠팡은 부족했던 현장 대처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코로나19로 인해 치료 가능한 병원으로 이송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 것이라며 고인의 명예를 훼손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2022. 2. 23. 서울 잠실 쿠팡 본사 앞에서 열린 ‘쿠팡물류센터 반복된 노동자 사망사고 규탄 기자회견’에서 쿠팡 목천센터 故 박현경 노동자의 유족인 최동범씨가 발언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이 여성노동자의 사망은 누구의 책임인가? 로켓배송이 우선인 쿠팡이 바로 책임자다.”라면서, 정부 역시 책임을 벗어날 수 없다. 산업의 다양화로 특수고용, 플랫폼 노동과 같은 새로운 노동 형태가 등장했지만 산재보험, 산업안전보건법은 이를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임기 내 산재사망을 절반으로 줄이고 중대재해를 예방하겠다고 했지만 정작 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장 적용 유예 조항과 낮은 처벌 수위로 반쪽짜리 법이 돼버렸다.”고 성토했다.

안전보건공단의 ‘2020년 산업재해현황분석에 따르면, 2020년 한 해에만 2,062명의 사망재해자가 발생했다. 하루 평균 5, 6명의 노동자가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셈이다.


쿠팡노동자대책위 등 노동단체들은 2022. 2. 23. 서울 잠실 쿠팡 본사 앞에서 ‘쿠팡물류센터 반복된 노동자 사망사고 규탄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쿠팡노동자대책위 등 노동단체들은 우리는 더 이상 동료를 떠나보낼 수 없다. 죽지 않고 건강하게 일할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투쟁할 것이다.라면서, 쿠팡과 정부 역시 고인의 죽음 앞에 진정으로 반성하고 이런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책임을 다할 것을 요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을 위한 법률전문 인터넷신문 한국법률일보’ 손견정 기자 lawfact.desk@gmail.com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

PC버전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04223

Copyright ⓒ 한국법률일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