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검찰청사
|
‘
논두렁 시계’ 논란이 다시 일자 이인규 전 중수부장은 이날 <노무현 전 대통령 수사와 관련하여>라는 입장문을 내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검찰 수사 도중 세상을 달리하신 것은 진실로 가슴 아픈 일이다. 저 개인적으로도 안타깝고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 전 중수부장은 “그러나 노 전 대통령 수사와 관련해 검찰이 불법적이거나 부당한 일을 한 사실은 전혀 없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저는 일하던 로펌을 그만둔 후 미국으로 출국해 여러 곳을 여행 중에 있다. 이로 인해 노무현 전 대통령 수사의 잘못을 회피하기 위해 해외로 도피했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며 “그러나 노 전 대통령 수사와 관련해 불법적이거나 부당한 일은 없었으며, 검사로서 소임을 다했을 뿐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이인규 전 중수부장은 “만일 노 전 대통령 수사와 관련해 제가 잘못한 점이 있어 조사 요청이 오면 언제든지 귀국해 조사를 받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아울러 노무현 전 대통령의 논두렁 시계 사건 보도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설명했다.
이인규 전 중수부장은 “노 전 대통령 수사 중인 2009년 4월 14일 퇴근 무렵 국정원 전 직원 강모 국장 등 2명이 저를 찾아와 원세훈 전 원장의 뜻이라며 ‘노 전 대통령을 불구속하되, 시계 수수 사실을 언론에 흘려 노 전 대통령에게 도덕적 타격을 가하는 것이 좋겠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전했다.
이 전 중수부장은 “국정원이 노 전 대통령 시계 수수 관련 수사 내용을 어떻게 알았는지 알 수 없었지만, 이들의 언행이 너무 어처구니가 없었다”며 “화가 난 제가 ‘원장님께서 검찰 수사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내일 오전 기자 브리핑에서 이러한 사실을 알려 감사한 마음을 표시하겠습니다. 원장님께도 그리 전해 주십시오’라고 정색하며 말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에 강 국장 등이 크게 놀라면서 ‘왜 이러시냐?’고 하기에, 제가 화를 내면서 ‘국정원이 이렇게 해도 되는 것이냐?’고 강하게 질책했다”며 “이에 강 국장 등 2명은 ‘자신들이 실수한 것 같다면서 오지 않은 것으로 해 달라’고 하고 사죄한 뒤 황급히 돌아갔으며, 저는 이러한 사실을 위에 보고했다”고 말했다.
이인규 전 중수부장은 “그 후 2009년 4월 22일 KBS에서 ‘시계수수 사실’ 보도, 같은 해 5월 13일 SBS에서 ‘논두렁에 시계를 버렸다’는 보도가 연이어져, 국정원의 소행임을 의심하고 나름대로 확인해 본 결과 그 근원지가 국정원이라는 심증을 굳히게 됐다”고 했다.
이 전 중수부장은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2015년 2월 23일 경향신문 기자들과의 저녁 식사 자리에서 ‘검찰이 시계수수 사실을 흘려 망신을 준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보도하지 않을 것을 전제로 국정원의 노 전 대통령 논두렁 시계 보도 관련 사실을 언급했는데 약속을 어기고 보도를 했던 것”이라며 “이것이 노 전 대통령 논두렁 시계 보도와 관련해 알고 있는 대략의 내용”이라고 설명했다.